목록아리스토텔레스 (7)
[블로그 이사 예정] 철학, 끄적끄적
여느 이론과 마찬가지로 실재론realism도 단일한 입장은 아니다. 실재론자들도 서로 논쟁을 하게 된다. 물론 그 쟁점은 여러가지다.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론의 일반성generality에 관한 것이다. 실재론에 따르면 속성 일치 현상은 보편자 덕택에 가능한 것이다. 그렇다면 모든 경우에 그런가? 또 그들은 술어와 같은 일반적 용어가 추상 단칭 용어가 보편자를 외연으로 갖는다고 말한다. 이것은 모든 용어에 해당하는 말인가? 이 질문..
형이상학이 무엇인지 말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. 그것은 물론 형이상학의 역사가 길다는, 그래서 여러 주제가 여러 방법론을 통해 다루어져 왔다는 점 때문이기도 하다. 그러나 그 때문만은 아니다. 그러면 대체 왜? 이 질문에 답하자면 형이상학적 탐구의 유래를 잠깐 짚어볼 필요가 있다.아리스토텔레스의 『형이상학』"형이상학metaphysics"라는 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『형이상학』에서 온 것이다. 그렇다면 이 책에서 어떤 작업이 이루어지는가? 아리..
플라톤이 『국가Republic』에서 내세운 철인왕의 통치는 몇 가지 질문들을 낳는다. ① 철학자들이 나서서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. 그런데 플라톤은 (소크라테스의 입을 통해) 계속해서 철학자들이 통치를 하도록 강제되어야 한다고 말한다. 대체 왜? ② 『국가』의 목표 중 하나는 정의justice가 그 자체로 좋다는 것이다. 그런데 철학자가 통치를 하는 일은 국가의 정의에 이바지하는 일이므로 정의롭다. 그러나 ..
아리스토텔레스의 『정치학Politics』은 『국가Republic』 4권에서 플라톤이 지지했던 처자 공유제communism of wives and children를 강하게 비판한다. 『정치학』의 2-4권은 각각 (1) 국가는 가능한 한 하나되어야 한다는 플라톤의 주장과 (2) 처자 공유제가 시행되면 모두가 어떤 것이 자신의 것이면서 동시에 자신의 것이 아니라고 말할 것이라는 주장, 그리고 (3) 처자공유제를 통해서 플라톤이 이루고자 ..
이 글은 연세대학교 철학과의 선우환 교수님께서 강의하신 논리학 수업 필기를 바탕으로 쓴 것입니다. 작성자 본인의 이해에 따라 소폭 수정하거나 추가한 부분이 있습니다. 실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.I 대당사각형누구나 한 번쯤은 봤을법한 대당사각형square of opposition은 다른 종류의 정언 문장들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. 그 기원은 본격적으로 정언논리 체계를 연구한 최초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로..
여럿은 거의 항상 어떤 식으로든 분류될 수 있다. 규범 이론normative theory 역시 몇 가지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. 한 가지 구분은 행위자 중립적agent-neutral 이론과 행위자 중심적agent-centered 이론이다. 행위자 중립적 이론은 모두에게 똑같은 목표를 부여한다. 다른 사람의 목표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곧 나의 목표가 이루어지는 것이기도 하다. 공리주의utilitarianism가 대표적인 예다. 공리주의는 우리에..